부산 해운대·용인 수지 등 9개 노후계획도시 재정비…기본계획 수립 착수

30일 23개 지자체 참여 2차회의 개최…내년 상반기 용역착수
평촌 기본계획안 주민 공람…1만8000호 추가 공급 기반 마련

이보미 기자

lbm929@hanmail.net | 2024-08-30 08:00:20

▲평촌 신도시 기본계획안. 사진=국토부 제공 

 

[한국건설경제뉴스=이보미 기자]부산 해운대·용인 수지·수원 영통·안산 반월 등 전국 9개 노후계획도시 재정비가 본격화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30일 서울에서 전국 23개 노후계획도시 지자체가 참여하는 협의체 2차 회의를 열고 전국 노후계획도시의 기본계획 수립 추진 현황 등 준비상황을 점검한다고 밝혔다.

 

국토부가 지난 14일 노후계획도시 기본계획 수립의 가이드라인이 되는 노후계획도시 정비기본방침안을 공개하면서 기본계획 수립이 본격화됐고, 특히 부산광역시와 수원시, 용인시, 안산시는 관내 노후계획도시 9곳의 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했다. 2026년 7월까지 기본계획 수립을 안료할 방침이다.

 

또 인천광역시와 대전광역시 등 노후계획도시 지자체 10곳도 내년 상반기까지 기본계획 수립 용역 등에 착수한다. 이어 서울특별시와 대구광역시 등 협의체에 참석하는 나머지 지자체도 기본계획 수립 일정 등이 구체회되는 대로 관련 절차를 이행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기본방침안이 마련된 만큼 협의체를 통한 기본계획 수립 단계별 자문, 찾아가는 지자체 간담회, 선도지구 지정 협의 등을 통해 전방위적인 지원을 다할 예정이다. 올해 7~8월에는 부산시와 안산시의 기본계획 수립 착수보고회에 참석해 자문을 실시한 바 있다.

 

특히 선도지구와 관련해서 지자체는 특별정비예정구역 등이 구체화되면 계획수립 완료 전이라도 선도지구 공모 등을 추진 검토한다는 입장이며, 국토부는 이를 적극 협조할 계획이다.

 

안산시는 이날 1기 신도시 중 한곳인 평촌 신도시의 노후계획도시정비 기본계획안을 공개하고 주민공람을 실시한다. 이어 오는 10월 지방의회 의견조회를 거쳐 노후계획도시 정비 지방위원회 심의 및 국토부 협의 후 12월 경기도 승인을 받을 예정이다.

 

평촌 신도시의 기준용적률은 330%(현행 평균 204%)이며, 이를 통해 현재 13만명 주택 5만1000호를 16만명 6만9000호로 1만8000호로 추가 공급할 기반을 마련할 방침이다. 비전은 '지속가능한 미래도시 평촌'이다.

 

정우진 국토부 도시정비기획단장은 "1기 신도시 선도지구 공모와 기본계획안 수립을 차질없이 추진함과 동시에, 전국 노후계획도시도 지역 특성에 맞는 기본계획이 조속히 수립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