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 폐사 논란’ 전문가 의견 “원인 불명, 사료 연관성 부정”
- 정부 및 전문기관 검증 결과, 반려동물 사료-최근 반려묘 집단 폐사 사이 연관성 부정
- 전문가측 “반려동물 사료의 안전성을 재확인, 온라인상 부정확한 정보 확산 우려”
이준열 기자
tiger28th@gmail.com | 2024-05-11 10:44:17
[한국건설경제 이준열 기자] 최근 반려묘가 원인 불명의 무기력증을 보이고, 잇따라 신경·근육병증을 앓다 폐사한 사례가 전국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일부 네티즌들은 반려동물 사료를 병증의 이유로 지목했고, 이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빠르게 퍼졌다.
한국사료협회는 해당 병증과 반려동물 사료는 연관이 없다는 의견을 내놨다. 한국사료협회는 정부와 공인검사기관이 유통사료를 검사했고, 문제로 지목되고 있는 반려동물 사료와 신경·근육병증은 무관하다는 결과가 도출됐다고 지난 2일 밝혔다.
농림축산식품부 역시 검사를 의뢰한 사료 3건에 대해 유해물질(78종), 바이러스(7종), 기생충(2종)을 울산 소재 동물병원에서 검사한 결과 음성(또는 적합, 불검출)으로 확인 됐다고 지난달 19일 밝힌 바 있다.
또, 조사 필요성이 제기된 사료제조업체 5곳에 대해서도 해당 지자체에서 사료 제조공정, 관련 서류 등을 점검했지만 특이사항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사료협회 관계자는 “사료기술연구소에서도 유통사료에 대한 중금속, 곰팡이독소, 잔류농약, 동물용의약품, 살모넬라 등 안전성검사를 실시했고, 마찬가지로 ‘불검출 또는 적합(사료관리규정)’으로 확인됐다”고 전했다.
이번 사태에 대해 중앙대 동물생명공학과 허선진 교수는 한 언론 칼럼에서 "반려동물의 가족 못지않게 반려동물 사료를 만드는 사람들도 대부분 동물을 사랑하는 사람들이므로, 무조건 사료만을 원인으로 몰아가는 것은 자중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제 막 성장기에 접어든 국내산 펫푸드 산업이 억울한 누명으로 수입산에 그 자리를 다시 내어주는 일이 생기는 것은 우리 모두에게 득이 되는 상황이 아니기 때문”이라고 덧붙여 국내 펫푸드 산업에 드리운 먹구름에도 우려를 표했다.
현재 퍼지고 있는 사료에 대한 루머는 처벌 대상이기도 하다. 이에 대해 사회문화평론가 지승재는 “고양이 커뮤니티와 카페 등에서 주장하는 내용은 과학적 증거 없는 심증적 의심에 불과해 선의의 피해자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짚었다.
이어 “온라인상에서 다른 사람들이 볼 수 있는 곳에 거짓을 이야기하며 다른 사람의 명예를 훼손시킨 사람은 7년 이하의 징역, 10년 이하의 자격정지 또는 5000만원 이하의 벌금을 처벌 받을 수 있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한국사료협회는 “온라인상에서 무분별하게 유포되고 있는 루머가 국내산 반려동물 사료제품에 대한 부정적 영향과 소비자들의 불신을 초래하고 있다”며, “향후 사실관계 확인 없이 근거 없는 추측성 문제를 제기하고 이를 유포해 국내산 사료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과 소비자들의 신뢰를 위협하는 일이 발생되지 않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