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기지 31% 반환 완료…"국민의견 반영 정비계획 변경"
미군 부분반환부지 18만㎡→76.4만㎡로 4.2배↑
국토부, 용산공원 종합기본계획 3차 변경안 확정
이보미 기자
lbm929@hanmail.net | 2022-08-10 11:35:07
주한미군이 평택으로 이전하면서 반환한 용산부지가 전체의 31%에 달하면서 정부가 앞으로 국민 의견 수렴과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해 구체적인 활용 방안을 결정하기로 했다.
국토교통부는 10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용산공원정비구역 종합기본계획 변경계획안'이 용산공원조성추진위원회 심의를 거쳐 확정됐다고 밝혔다.
용산공원 정비구역 종합기본계획은 반환되는 용산 미군기지를 국가공원으로 조성하기 위한 기본구상 및 조성방향을 담는 계획이다. 2011년 최초 수립 이후 2차례(2014년·2021년) 변경된 바 있다.
3차 변경계획에는 작년 12월 2차 변경 이후 미군이 한국에 반환한 부지 면적이 작년 18만㎡에서 지난달 76만4천㎡로 증가했다는 현상 변경 내용이 반영됐다. 이로써 미군은 용산기지 전체 면적의 31%를 한국에 반환했다.
국토부는 변화된 여건과 지난 6월 용산공원 시범 개방 시 수렴한 국민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공청회, 관계기관 협의를 통해 이번 계획안을 마련했다.
용산공원에는 지난 6월 10일부터 26일까지 시범개방 기간 약 2만2000명이 다녀갔으며 공원 조성에 대한 국민의견을 듣기 위한 매체(경청우체통)를 통해 약 3000건의 국민의견 접수했다.
접수된 주요 의견들로는 ▲용산공원 정식 조성 전 임시개방부지 이용시간 확대 ▲ 공원내 잔디광장 등 열린소통 공간 마련 ▲기존시설을 활용한 문화·스포츠공간 조성 등이 나왔다.
이에 따라 부분 반환부지는 전문성을 갖춘 공공기관이 유지·관리계획을 수립해 체계적으로 운영하도록 하고, 위탁업무 수행기관으로 한국토지주택공사(LH)를 지정했다.
아울러 부지 내 기존 건축물은 구조안전성, 공간 활용계획, 역사적 가치 등을 고려한 활용 기준을 마련한 뒤 전문가 자문을 거쳐 활용 방향을 결정하도록 했다.
국토부는 특히,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반환 부지에 대한 오염 정화 이전이라도 토양 안전성 분석과 환경 위해성 저감조치 등을 실시토록 했다.
길병우 국토부 용산공원조성추진기획단장은 "이번 변경계획은 용산공원을 실제 경험한 국민의 의견을 기본계획에 반영한 것"이라며 "앞으로도 국민과 소통하면서 용산공원 조성사업을 차질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국건설경제뉴스 / 이보미 기자 news@k-buildnews.com
[ⓒ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