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곡2동·목4동·신정동, 도심복합사업 후보지로 선정

이들 부지 52만㎡서 1.2만호 공급
기존 후보지 76곳 중 21곳은 철회

이보미 기자

lbm929@hanmail.net | 2022-12-26 11:46:57

▲도심복합사업 후보지 9차 후보지 위치도. 사진=국토부 제공

 

서울 강서구 화곡2동과 양천구 목4동, 신정동 인근 일대 3곳이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9차 후보지로 선정됐다.

 

국토교통부는 26일 이같은 도심복합사업 9차 후보지 선정 결과를 발표하고, 이들 지역 면적 52만㎡에서 1만2000호를 공급한다고 밝혔다.

 

도심복합사업은 노후 도심지역에 용적률 완화 등의 혜택을 부여하고 공공시행으로 절차를 단축해 주택을 신속하게 공급하는 사업이다.

 

지난 2021년 2월 도입된 이후 여덟 차례에 걸쳐 76곳 10만호의 후보지를 발표했고, 이 가운데 9곳 1만5000호를 도심복합사업지구로 지정했다.

 

이번에 선정된 9차 후보지의 공급 규모는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아파트 재건축사업(1만2000호·63만㎡)와 맞멎는 규모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화곡2동 주민센터 인근 24만1602㎡ 부지에는 5580호, 목4동 강서고 인근 19만6670㎡  부지에 4415호, 목동역(신정동) 인근 7만8923㎡에는 1988호가 공급된다.

 

특히 화곡2동 구역은 현재까지 발굴된 후보지 중 사업면적이 가장 큰 만큼 앞으로 발생 가능한 교통문제를 최소화 하기 위해 국회대로, 곰달래로 등 주변 주요 도로를 확장하는 등 교통체계개선도 병행할 예정이다.

 

목5동 구역은 일부가 지난해 일부가 소규모주택정비 관리지역 후보지로 선정된 바 있으나 통합개발을 통한 대단지 조성을 희망하는 주민들의 요청에 따라 도심복합사업을 시행해 노후기반 시설을 통합적으로 정비할 계획이다.

 

신정동 구역은 20년 이상 경과한 건축물이 70% 이상으로 노후화돼 있으나 정비사업을 위한 요건 불충분으로 주민 주도의 주거환경 개선이 어려운 점을 고려해 공공이 주도해 주거·상업·문화기능이 집약된 복합시설을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국토부는 이번에 발표하는 9차 후보지에 대해서는 지자체 협의 등을 거쳐 세부 계획을 조속히 수립할 예정이며, 용적률 상향, 수익률 개선 등 사업 효과를 상세 안내하기 위한 주민 설명회도 신속히 개최할 계획이다.

 

또, 앞으로도 낙후지역·지방 노후주거지 등 민간개발이 어려운 지역 중심으로 수시로 지자체 제안을 받아 후보지를 추가 발굴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8.16대책에서 밝힌 바와 같이 주민호응이 낮아(주민동의율 30% 미만) 사업 진행이 어려운 곳 21곳 2만호7000호를 후보지에서 철회하기로 했다.

 

이번에 철회된 후보지는 서울 강북구 수유역 남측 1·2, 삼양역 북측, 부산 전포3구역 등 21곳이다. 이들 지역은 대부분 가로주택정비사업이나 재개발사업 등 주민 주도의 타 사업으로 전환될 전망이다.

 

국토부는 이들 철회지역에 대해 향후 주민의 요청이 있을 경우 민간 도심복합사업, 가로주택정비사업 등으로의 전환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공공 도심복합사업을 신속히 추진하기 위해서는 민간의 전문성과 창의성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도심 복합개발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 등을 제도화한다는 방침이다.

 

박재순 공공주택추진단장은 "앞으로도 후보지를 지속 발굴하고, 민간 도심복합사업, 정비사업 규제 완화 등을 통해 공공분양 50만호 공급계획에 따른 공공주택 공급을 차질 없이 추진할 것"이라고 했다.

 

한국건설경제뉴스 / 이보미 기자 news@k-buildnews.com

[ⓒ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