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탄소공간지도' 만든다…지역 배출·흡수량 한눈에
21일 도시정책관 주재 정책간담회 개최
표준모델·정책활용방안 마련 용역착수
이르면 내년 상반기 서비스 개시 예정
이보미 기자
lbm929@hanmail.net | 2022-09-21 12:08:22
국토교통부가 도시와 지역의 공간 단위에서 종합적인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탄소공간지도'를 구축하기로 했다.
국토부는 이를 위해 오는 21일 오후 2시 국토부 도시정책관 주재로 도시와 환경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정책간담회를 열고 탄소공간지도 구축·활용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탄소공간지도는 탄소의 배출·흡수량 정보를 도시·지역의 공간단위를 기반으로 시각화·지도화 한 것으로, 탄소중립형 도시계획 수립, 탄소중립도시 조성 등에 활용하기 위해 마련됐다.
미국·영국·일본 등 해외에서는 2000년대 초반부 제작해 공간계획 수립에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특히 일본은 도시구조·교통정책 실시에 따른 탄소감축 효과를 간편하게 진단·평가하는 공간 분석도구(CREST)를 개발해 활용하고 있다.
이에 우리 정부도 지난해 말 발표한 '국토교통 탄소중립 로드맵'에서 국토·도시 분야의 탄소 배출 관련 데이터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밝혔고, 올해 3월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 시행령에 이를 위한 근거를 마련하면서 착수하게 된 것이다.
국토부는 올해 안으로 탄소공간지도 표준모델을 구축하고 정책 활용방안을 마련하는 연구용역에 착수한다는 방침이다. 이르면 내년 상반기에는 탄소공간지도 서비스를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표준 모델은 건물·수송 부문의 에너지 정보로 탄소배출량 데이터를 구축하고, 도시 내 공원, 녹지, 유원지 등 토지용도별 공간정보 데이터로 탄소흡수량을 산정해 마련한다. 축적된 데이터는 기존 국토이용정보 통합플랫폼(KLIP)의 도시계획 현황 정보와 통계지리정보서비스(SGIS)의 공간별 인구·교통정보 등 정보와 연계해 정책에 활용한다.
국토부는 이와 함께 탄소공간지도 고도화를 위한 연구개발(R&D)도 추진하기로 했다. 탄소배출 정보의 수집·활용 범위를 점(건물) 단위에서 선(도로·철도)·면(정주지·녹지) 등 단위로 확대하고, 도시 공간구조 변화에 따라 탄소배출량의 변화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다.
앞으로 탄소공간지도는 정부가 도시별 탄소중립수준을 파악하고 탄소중립기본법에 따라 탄소중립도시를 선정해서 지원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게 국토부 측의 설명이다.
길병우 국토부 도시정책관은 "탄소공간지도는 탄소 배출원 중심의 부문별 접근 한계를 탈피하고 지역·도시 등 공간 단위 중심의 통합적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이를 기반으로 지역 특성이 반영된 탄소중립형 도시계획을 수립하도록 해 전 국토의 탄소중립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했다.
한국건설경제뉴스 / 이보미 기자 news@k-buildnews.com
[ⓒ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