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 현 정부 출범 이후 2년간 9.8% 하락"

현 정부 서울 주택 상승률, 전 정부보다 높다는 지적에 반박
국토부 "속도감 있는 주택공급으로 시장안정화에 기여할 것"

이보미 기자

lbm929@hanmail.net | 2024-10-07 09:33:36

▲사진=셔터스톡

 

현 정부 출범 이후 2년간 공동주택 매매가격이 서울은 9.8%, 수도권은 13.4% 하락했다는 집계가 나왔다.

 

국토교통부는 국가승인통계인 실거래가지수에 의하면 2022년 5월부터 올해 5월까지 공공주택 매매가격 변동률이 이같이 나타난 반면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2년 동안(2017년 5월~2019년 5월)엔 서울이 20.8%, 수도권이 7.7% 올랐다고 7일 밝혔다.

 

국내 한 언론 매체에서 현 정부 첫 2년간 매매가격이 서울 39%, 수도권 37.8% 상승하고, 전 정부 첫 2년간 서울 17.9%, 수도권 2.2% 상승한 것과 비교하면 현 정부 집값 상승률이 전 정부보다 더 높았다고 보도한데 정면 반박한 것이다.

 

국토부는 이 사실은 민간 주택가격 통계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면서, KB부동산 매매가격 변동률에서도 현 정부 초기 2년간 매매가격이 서울은 5.7%, 수도권은 8.9% 하락한 반면, 문 정부 초기 2년간 서울은 14.2%, 수도권은 8.0%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국토부는 "정부는 확실하고 속도감 있는 주택공급을 통해 주택시장 안정을 기할 수 있도록 지난 8월 8일 발표한 '국민 주거안정을 위한 주택공급 확대방안'의 후속조치를 차질없이 이행해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