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쓰레기 소각장, 기피시설 아닌 랜드마크로"…후보지 내달 발표
소각시설 100% 지하화, 지상부는 복합문화타운 조성
지역주민에게 1000억원 규모 편익시설 등 대폭 지원
입지선정위원회, 5개 내외 후보 평가 거쳐 9월 발표
이보미 기자
lbm929@hanmail.net | 2022-08-17 12:34:25
서울에 혁신적 건축 디자인을 적용한 새 쓰레기 소각장이 2026년 안에 들어선다.
서울시는 현재 양천·노원·강남·마포 등에 운영 중인 4개 광역 자원회수시설에 더해 다섯번째 자원회수시설을 2026년까지 건립할 것이라고 17일 밝혔다.
오는 2026년부터 매립지에 생활폐기물을 소각하지 않고 직매립하는 것이 금지돼, 신규 자원회수시설은 폐기물을 모두 소화할 수 있도록 일일 소각량 1000톤 규모로 조성할 방침이라는 게 시 측의 설명이다. 이렇게 되면 2026년엔 '직매립 제로'가 실현된다.
특히 시는 신규 자원회수시설을 ‘기피시설’이 아닌 ‘기대시설’로 조성해 자원회수시설의 패러다임을 새로 쓴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디자인, 친환경, 콘텐츠 등 모든 측면에서 매력적인 랜드마크이자 지역 명소로 만들어 인근 지역의 발전과 경제 활성화를 견인하겠다는 것이다.
해외에서는 자원회수시설을 지역의 명소로 만든 사례가 이미 여러 곳 있다. 덴마크 코펜하겐의 ‘아마게르 바케’는 소각시설 상부에 스키장을 만들고 벽면에는 암벽장을 설치해 관광명소로 각광받고 있다. 이 곳은 2021년 올해의 세계 건축물로 선정되기도 했다.
시는 소각시설은 100% 지하에 설치하고, 지상부엔 자원회수시설이라고는 상상할 수 없는 세련된 건축 디자인의 복합문화타운을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업무‧문화 시설, 공원 등 지역 발전에 도움이 되는 시설을 유치하고, 자원회수시설의 특징이자 기피의 상징이었던 높은 굴뚝은 관광 아이템으로 역활용해 전망대, 회전 레스토랑, 놀이기구, 스카이워크 등을 만든다는 계획이다.
또 첨단 기술이 집약된 세계 최고의 오염방지설비를 갖춰 대기오염물질 악취와‧소음을 최소화하기로 했다. 특히 오염물질 배출기준을 법적 허용기준 대비 10%~50% 수준으로 강화해 기존 자원회수시설은 물론 유럽, 일본의 시설보다도 엄격하게 관리하겠다는 구상이다. 주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주변 거주지 등과 분리된 작업차량 전용 진출입 도로도 개설할 예정이다.
해당 지역주민에게는 인센티브를 준다. 서울시는 약 1000억 원을 투자해 자원회수시설에 지역 주민이 원하는 편익시설을 도입하고, 연간 100억원 규모의 '주민지원 기금'도 조성해 아파트관리비, 난방비 등 주민복리증진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신규 자원회수시설 최적 후보지는 현재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입지선정위원회'에서 5개 내외 후보지를 두고 검토 중이다. 다음달 최적 후보지를 선정해 발표할 예정이며, 발표 이후에는 '입지선정위원회' 후보지 타당성 조사과정과 결과를 20일 이상 주민에게 공고‧공람해 투명하게 공개한다는 계획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자원회수시설이 서울시와 서울시민 전체를 위한 필수 시설이므로 최적 후보지 결정 시 지역주민의 이해와 협조를 당부드린다"며 "세계 최고의 랜드마크 조성, 깨끗하고 안전한 시설, 지역경제 활성화, 주민지원 등을 통해 기피시설이 아닌 기대시설로 전환되는 모범사례로 만들겠다"고 전했다.
한국건설경제뉴스 / 이보미 기자 news@k-buildnews.com
[ⓒ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