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스마트시티 조성·확산 사업 공모

총 14개 지자체 선정…1040억원 지원
올해는 강소형 스마트시티 사업 도입

이보미 기자

lbm929@hanmail.net | 2023-02-06 12:46:20

▲사진=국토부 제공

 

국토교통부는 기존 도시 문제 해결을 위해 혁신적인 서비스를 발굴하는 '2023년 스마트시티 조성·확산사업' 공모를 공고한다고 6일 밝혔다.

 

올해 기존 우수솔루션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솔루션 확산사업과 도시 전역에 종합솔루션을 실증해 스마트시티 거점을 조성하는 거점형 사업에 기후위기, 지역소멸 등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강소형 스마트시티 사업을 새로 도입한다는 방침이다.

 

거점형 스마트시티는 도시 전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합 솔루션을 개발ㆍ구축해 스마트시티 확산을 견인할 수 있는 스마트 거점을 조성하는 유형이다. 지역특화 및 첨단산업을 지원하는 스마트 인프라를 구축하고, 확산거점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혁신적인 도시서비스를 보급을 지원한다.

 

올해는 스마트 거점 역할이 가능한 2개 도시를 선정하며, 선정 지역별로 3년간 국비 200억원을 지원(지방비 1대1 매칭)할 계획이다. 이 사업을 통해 스마트시티 규제 샌드박스를 통한 규제해소를 지원하고 공간규제 특례 지원도 병행할 예정이다.

 

강소형 스마트시티는 중소도시들이 기후위기·지역소멸 등 최근의 환경변화에 대응력을 확보하여 지속가능성과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특화솔루션을 집약한 선도도시를 조성하는 유형이다. 

 

올해 친환경ㆍ탄소중립 특화도시, 기후재해-제로(zero) 선도도시 등 기후위기 대응형 2개소와 인구변화 대응 도시, 지역산업 활력지원 도시 등 지역소멸 대응형 2개소 등 총 4개소를 선정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인구 100만 이하 도시를 대상으로 하며, 선정된 사업지에는 총 2년간 국비 120억원(지방비 1대1 매칭)을 지원한다.

 

솔루션 확산 사업은 스마트 횡단보도, 스마트 버스 쉘터 등 효과성이 검증된 스마트 솔루션들을 전국적으로 골고루 보급해 전 국민이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체감할 수 있도록 하는 사업 유형이다.

 

이 유형에 선정된 지역에는 보급 솔루션을 우선 구축하고, 보급 솔루션 표준 가이드라인 제시, 실증 경험이 있는 선행 지자체의 코칭, 전문기관의 컨설팅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지원 대상은 인구 30만명 미만의 지자체이며, 이번 공모를 통해 총 8곳의 사업지를 선정하고, 사업지 당 1년간 20억원의 국비를 지원(지방비 1대 1 매칭)할 계획이다.

 

이번 스마트시티 조성·확산 공모는 이날 일괄 공고하며, 솔루션 확산 사업은 다음달 28~30일, 강소형 및 거점형 사업은 4월 5~7일까지 접수기간을 갖는다. 이어 관련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회의 평가 등을 거쳐 4월 중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

 

길병우 국토부 도시정책관은 "스마트시티 조성·확산 사업은 기존 도시의 혁신 성장을 위해 꼭 필요하다"며 "각 지자체에서는 지역주민이 체감할 수 있고 지속가능한 스마트서비스를 적극 발굴해 주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한국건설경제뉴스 / 이보미 기자 news@k-buildnews.com

[ⓒ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