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토면적 16.5%가 도시…총 인구 92.1%가 거주
국토부, 2023 도시계획현황 통계 발표
개발행위허가는 3년 연속 10%대 감소
이보미 기자
lbm929@hanmail.net | 2024-09-13 08:00:49
[한국건설경제뉴스=이보미 기자] 우리나라 전체 국토면적 중 도시지역이 16.5%에 이르는 가운데 총 인구의 92.1%가 도시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토교통부는 한국국토정보공사와 함께 13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3년 기준 도시계획현황 통계'를 발표했다.
국내 용도지역으로 지정된 국토면적은 10만6565㎢였다. 이중 도시지역이 1만7590㎢(16.5%)로 가장 많았다. 이어 관리지역 2만7326㎢(25.6%), 농림지역 4만9252㎢(46.2%), 자연환경보전지역 1만1871㎢(11.1%), 미지정지역 526㎢(0.5%) 순으로 구분돼 있다.
총 용도지역은 전년과 비교해 333㎢ 늘었지만, 도시지역과 자연환경보전지역은 각각 202㎢, 0.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도시지역 가운데 공업지역은 대규모 산업단지 조성의 영향으로 14㎢ 증가했다. 미지정지역과 관리지역, 농림지역도 저마다 505㎢, 22㎢, 8㎢씩 늘었다.
우리나라 주민등록 총 인구 5132만명 가운데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는 4727만명으로 92.1%를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비도시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는 405만명(7.9%)에 불과했다. 지역별로는 서울(100%), 부산(100%), 광주(100%), 대전(100%) 등의 도시지역 거주 인구 비율이 높았고, 반대로 전남(75.0%), 충남(75.1%) 경북(79.9%) 순으로 도시지역 거주 인구 비율이 낮았다.
지난해 성장관리계획구역은 899㎢로 전년(436㎢)의 2배로 늘었다. 이는 올해 1월부터 비도시지역인 계획관리지역에서 공장을 설치하기 위해 성장관리계획수립을 의무화함에 따른 영향으로 풀이됐다. 성장관리계획구역은 녹지지역·관리지역·농림지역과 자연환경보전지역의 난개발 방지를 위해 지정하는 구역이다.
성장관리계획구역 중에서는 경기도가 417㎢(46.3%)로 가장 컸고, 이어 세종 175㎢(19.5%), 인천 133㎢(14.8%), 충북 117㎢(13.0%) 순으로 넓게 지정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개발행위허가는 20만5446건으로 전년보다 15.7% 감소했다. 2021년 10.4%, 2022년 11.5% 감소한 데 이어 3년 연속 10%대 감소세를 보인 것이다. 개발행위허가는 2016년~2018년 정점 이후, 부동산 경기 침체 등의 영향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개발행위허가가 가장 많았던 곳은 경기도(5만1905건)로 전체의 25.3%를 차지했다. 이어 경북(2만392건), 전남(1만9480건), 강원(1만8813건) 순으로 개발행위허가가 많았다. 유형별로 보면 건축물의 건축이 3만5353건(25.7%) 줄었으나, 태양광 등 공작물의 설치는 6047건(46.2%) 늘었다.
도시계획현황 통계에 관한 더욱 자세한 내용은 토지이음과 지표누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