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 10년간 한옥마을 10곳 만든다…한옥정책 장기계획 발표
서울시 '서울한옥4.0 재창조계획' 수립
개발제한구역 등 활용해 한옥마을 조성
한옥 심의기준 73개 중 44개 폐지·완화
이보미 기자
lbm929@hanmail.net | 2023-02-14 14:52:59
서울에 앞으로 10년 동안 한옥마을 10곳이 생긴다.
서울시는 이런 내용을 담은 한옥정책 '서울한옥4.0 재창조계획'을 수립하고, 올해부터 본격적인 추진에 들어간다고 14일 밝혔다.
이 계획은 '새로운 한옥, 일상 속 한옥, 글로벌 한옥'을 통해 서울의 도시 경쟁력과 매력을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한옥 디자인 지원 확대와 신규 한옥마을 조성과 우리주거문화(K-리빙) 확산이라는 세 가지 방향을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우선 창의적인 한옥 디자인을 위해선 한옥 건축물로 한정됐던 한옥의 개념을 현대적인 재료와 기술이 적용된 '한옥건축양식', '한옥 디자인 건축물'까지 확장해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현재 한옥건축 심의 기준 73개 항목 중 44개가 완화 또는 폐지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구조·창호·기와·처마 길이·마당 상부 구조물·마당 높이차 등 33개 심의 기준을 완화된다.
구 배치·창틀·대문 등 11개 항목은 폐지되며, 10평(33㎡) 미만 소규모 한옥 심의 기준은 입면 비례, 지붕 높이, 처마길이 등의 기준이 느슨해진다. 또, 한식 목구조와 기타 구조 결합이 가능해지며, 상업지역의 경우, 처마길이 기준도 90cm→ 60cm로 유연해진다.
이로써 여지껏 지원받기 어려웠던 상업용 한옥 등 현대적인 구조 .재료가 결합된 한옥도 최소기준(필수 항목)만 충족하면 '한옥건축양식' 항목으로 지원받을 수 있게 됐다.
기존 한옥의 공간구성 배치, 한식 창호, 목구조, 가로경관, 지붕 경관 유지 등 전통한옥 구법과 형태, 특성을 잘 살린 한옥에는 건립비용의 최대 20%까지 추가 지원하는 인센티브도 지급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북촌, 서촌 등 기존 주거지와 익선동 등 상업지, 신규 조성되는 한옥마을 등은 기존의 지역적 특성과 경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외벽 및 지붕 재료, 창호 등의 기준도 완화할 계획이다.
앞으로 10년간 곳곳에 조성하는 10개소 한옥마을은 기존 도심의 한옥마을 외에 한옥이 부재한 지역으로 하되, 자치구 공모등을 통해 공원해제지역, 훼손된 개발제한구역 등을 활용해 대상지를 발굴해 나갈 예정이다.
한옥마을 조성은 서울도시주택공사(SH공사) 등을 통한 공영개발 방식으로 추진되며, 공익 목적의 일부 요양원·노인시설, 미술관과 같은 건축물을 한옥으로 건립하는 곳도 지원한다.
외국인에게 한옥과 전통 주거문화의 매력을 알리고 한옥을 세계화하는 데도 주력한다.
일단, 올해는 북촌과 서촌 한옥마을에 '공공한옥 글로벌라운지'를 조성하고, 외국인 방문객을 위한 플랫폼으로 한옥과 주거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글로벌라운지에서는 한옥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다도·도예 등을 체험해볼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전통 가구, 조명, 공예품 등 한옥 실내장식 전시도 추진한다.
시는 이외에도 국내외 기업, 지역 장인과 협업해 한옥 관련 상품을 개발·산업화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한옥 공간대여, 오픈하우스 등으로 시민과 외국인이 한옥과 전통 주거문화를 접할 기회도 늘릴 예정이다.
한국건설경제뉴스 / 이보미 기자 news@k-buildnews.com
[ⓒ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