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동산원 제공 |
[한국건설경제뉴스=박동혁 기자] 서울 아파트값 상승 폭이 3주 연속 커졌다. 성동·마포·광진·송파·강동·용산 등 이른바 ‘한강벨트’의 오름세가 서울 전역으로 번지는 양상이다.
수도권은 상승 폭이 0.07%로 확대된 반면, 지방은 보합 수준이 이어졌다. 규제 추가 가능성이 거론되는 가운데, 서울시는 강남3구·용산구 토지거래허가구역을 내년 말까지 연장했다.
25일 한국부동산원은 9월 넷째 주(22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발표했다.
서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19% 올라 직전 주(0.12%)보다 상승 폭이 커졌고, 이달 들어 0.08%→0.09%→0.12%→0.19%로 가파른 확대로 집계됐다. 전국은 0.03%, 수도권은 0.07%를 기록했다.
서울 25개 구가 모두 상승했다. 성동구 0.59%가 가장 컸고, 마포 0.43%, 광진·송파 각 0.35%, 강동 0.31%, 용산 0.28% 등이 뒤를 이었다. 재건축·대단지·역세권 위주로 매수 문의와 상승 거래가 늘었다는 게 부동산원의 설명이다.
수도권 전셋값은 0.06%로 확대(서울 0.09%, 경기 0.05%, 인천 0.04%)돼 매매와 동행하는 모습이다. 전국 전셋값은 0.04%로 소폭 상승했다.
전문가들은 공급 공백과 규제 전망이 맞물리며 ‘규제 전에 사두자’는 심리가 한강벨트 주변으로 확산됐다고 분석한다. 서울의 3주 연속 확대 흐름(0.08→0.09→0.12→0.19%)도 같은 맥락이다.
서울시는 강남·서초·송파·용산 토지거래허가구역을 2026년 12월 31일까지 연장했다. 다만 마포·성동 등 추가 지정은 이번에 논의되지 않았다.
정부는 9·7 주택공급 확대방안에서 국토부 장관의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권한 확대를 포함해 입법을 추진 중이다. 권한이 넓어지면 시장 과열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 신속 지정이 가능해진다.
‘한강벨트’가 점화한 상승 흐름이 서울 전역으로 확산했다. 전세가의 동반 상승과 규제 전망이 매수 심리를 밀어 올리는 가운데, 토허구역 연장·권한 확대 입법 등 정책 변수가 향후 방향성을 가를 전망이다. 실수요자는 입주·전세 만기 일정과 추가 규제 가능성을 함께 고려한 의사결정이 필요하다.
[ⓒ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