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광명~시흥 간 철도 등 핵심 교통망 우선 구축 요구
![]() |
| ▲박승원 광명시장(사진 왼쪽)이 7일 LH 광명시흥사업본부에서 김용석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장을 만나 '광명시 광역교통개선대책 현안사업 건의문'을 전달하고 있다. / 사진=광명시 |
[한국건설경제뉴스=최대식 기자] 경기 광명시는 박승원 시장이 한국토지주택공사(LH) 광명시흥사업본부에서 김용석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장과 만나 “광명시흥 3기 신도시는 입주 전 광역교통개선대책이 완료돼야 한다”며 선(先)교통 원칙을 강조했다고 밝혔다.
신도시 완공 시점까지 인구 약 50만명 규모로 확장될 전망인 만큼 서울과 경기 서남부를 잇는 철도·도로 확충이 시급하다는 진단이 나왔으며, 4개 연결도로 및 ‘서울 ~ 광명 ~ 시흥’ 철도사업의 조속 추진이 요청됐다.
박 시장은 7일 회의에서 “신도시 발표 당시 정부가 약속한 ‘선교통 후입주’ 원칙이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며, 입주 전에 교통 불편이 최소화되도록 광역교통개선대책을 조속히 추진해달라고 당부했다.
지구 계획상 인구 약 50만명이 예상되며, 광명은 서울향 통과 교통이 전체의 약 70%에 달한다는 분석도 제시됐다.
박 시장이 요청한 교통망은 ▲‘서울~광명~시흥’ 철도 신규 사업 ▲‘신천~하안~신림선’의 제5차 국가철도망계획 반영 ▲철산로 연결교량(L=0.9km) ▲범안로 연결지하도로(L=2.5km) ▲디지털로 지하차도(L=2.4km) ▲사업지~서해안로 연결도로(L=1.8km) 등 4개 연결도로 신설 등이다.
LH와 관계기관은 해당 사업을 면밀히 검토하고 협의를 강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광명시흥지구가 서남권 교통 병목 해소의 핵심 축으로 떠오른 가운데, 박 시장이 제언한 교통망 구축은 단지 신도시 내부 인프라가 아닌 수도권 광역활성화 전략과 직결된다는 평가다. 서로 다른 행정기관과의 협업, 사업 리스크 해소, 예산 및 착공시점 조율 등 제도적 과제가 산적해 있다.
광명시는 신도시 예정 입주 앞두고 교통망이 뒤따르지 않을 경우 지역민 및 입주예정자들이 겪을 불편과 혼란을 사전 예방하고자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였다. 입주 전 교통체계 선구축을 통해 ‘살기 좋은 신도시’의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수도권 서남부 권역의 균형발전과 지역 경쟁력 강화라는 정책적 목표 달성도 동시에 꾀하고 있다.
[ⓒ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