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한국건설경제뉴스=최대식 기자] 경기도가 부천시 소사본동·심곡본동 등 4곳에 대한 소규모주택정비 관리계획을 승인했다. 총 3015세대를 목표로 노후·저층 주거지를 블록 단위로 통합해 정비 속도를 높이고, 용도지역 상향과 가로주택정비 구역 통합으로 사업성을 끌어올린다.
경기도는 5일 부천시 4곳에 소규모주택정비 관리계획을 승인하고 총 3015세대 공급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소규모주택정비는 대규모 재개발·재건축이 어려운 노후·저층 주거지를 신속히 정비하는 제도로, 자율주택정비·가로주택정비·소규모 재건축·소규모 재개발을 포괄한다. 이번 계획은 주민 제안 기반으로 대상지를 선정하고, 용역(2024년 5월 착수)–주민공람–관리계획 수립 절차를 거쳐 확정됐다.
이에 따라 소사본동 108-7 일원(3만1335㎡)은 소사역세권 이면부를 정돈된 공동주택단지로 전환하기 위해 1만㎡ 이상 가로주택정비 2개소로 통합하고, 제2종 일반주거지역을 제3종으로 상향해 용적·세대 수용력을 확대한다.
심곡본동 562-68 일원(6만6307㎡)은 산재한 소규모 가로구역을 가로주택정비 4개소로 묶고, 성주산 자락의 공원·보행축과 연계해 생활SOC와 녹지 접근성을 강화한다.
그 외 2곳도 주민 제안과 공람을 통해 블록형 정비 구조를 적용, 노후 저층지의 연속적 정비를 가능하게 됐다.
소규모 방식은 기존 대규모 정비에 비해 사업성·기간 리스크를 낮춘다. 좁고 낡은 골목, 저층 혼재 등 생활 불편 지점을 먼저 개선하고, 소단위 기반시설(도로·보행축·소공원)을 촘촘히 채우기 쉽다. 구역 통합과 용도지역 상향은 사업성의 핵심 지렛대이며, 임대·분양 혼합과 단계별 이주 설계가 병행된다.
정비가 완료되면 3015세대의 순증 공급이 가능하고, 역세권·녹지축 연계로 정주성이 개선된다. 다만 교통·환경영향평가, 학군 배정, 분양가·원가 관리, 임대주택 비율 설계가 성패를 가른다.
경기도 도시재생과는 “적정 규모 블록으로 추진하면 지역 균형정비가 가능하다”며 “도내 원도심 노후 주거지역을 소규모주택정비 관리계획으로 신속히 정비해 삶의 질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