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지 중심 시장 재편 본격화
![]() |
| ▲ |
[한국건설경제뉴스=이병훈 기자] 수도권 주택시장에 다시금 신고가 거래 비중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에서는 서초구, 광진구 등 핵심 입지를 중심으로 신고가 거래가 절반을 넘었고, 이 흐름이 지난 15일 발표된 10·15 부동산대책의 배경으로 해석된다.
20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서울 아파트의 신고가 거래 비중이 6월 22%에서 8월 19%로 하락했으나 9월 들어 24%로 반등했다.
특히 서초구는 54%로 신고가 거래가 절반을 넘어섰으며, 과천시는 57%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달 정부가 서울 전역 및 경기 12곳을 규제지역으로 일괄 지정한 10·15 대책과 궤를 같이하는 흐름이다.
서울에서는 서초구(54%), 광진구(50%), 마포구(44%), 성동구(43%), 강남구(42%), 중구(41%) 등 고가·입지 선호 지역에서 신고가 거래 비중이 크게 확대됐다. 반면 노원구(1%), 도봉구·금천구(각 2%), 강북구(4%) 등 상대적으로 외곽 지역은 한 자릿수에 머물렀다.
경기도에서는 과천시(57%)를 비롯해 성남 분당구(43%), 중원구(23%), 수정구(21%), 하남시(11%) 등이 신고가 거래 비중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 경기 핵심 축 위주로 상승 흐름이 뚜렷했다.
직방 관계자는 “9월부터 수도권 주택시장에 다시 신고가 거래 흐름이 나타나며, 정부가 10·15 대책을 통해 이러한 가격 상단 확산을 차단하려 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단기적으로는 거래량이 조정될 수 있지만, 자금 여력이 있는 수요층은 핵심 입지로 이동하고 실수요층은 예산 맞춤형 대체지역 선택이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신고가 반등은 시장의 ‘입지 선호’가 다시 작동하는 신호로 읽힌다. 다만 고가·핵심권 중심으로 수요가 재편되면서 중저가·외곽 지역과의 격차가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10·15 대책 발표가 시장 기대심리를 잠재울지는 단기적 관전 포인트이며, 이후 거래량과 가격 추이가 주목된다.
규제지역 지정이 풍선효과를 유발해 비규제지역으로 수요가 몰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으며, 정부와 시장 참여자 모두 이번 흐름을 안정세 전환의 계기로 삼을지, 다시 과열로 이어질지 면밀히 주시할 필요가 있다.
[ⓒ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