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한국건설경제뉴스=이병훈 기자]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발표 전후 아파트 매매거래를 비교한 결과, 수도권 비규제지역에서의 매매 건수가 대책 발표 전 5170건에서 발표 후 6292건으로 2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서울 전역과 경기 12개 지역 등 규제지역에서는 같은 기간 거래가 1만242건에서 2424건으로 76% 감소해, 규제와 비규제지역 간 수요 흐름이 극명히 갈렸다.
10일 직방의 분석에 따르면, 규제지역으로 묶이지 않은 수도권 비규제지역은 대출·세제 부담이 상대적으로 낮아 실수요자와 관망세였던 수요층이 유입되었다. 거래 건수는 발표 전 9월 25일~10월 14일 기간 5170건에서 발표 후 10월 16일~11월 4일 기간 6292건으로 증가했다.
특히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는 거래량이 143건에서 247건으로 73% 증가하며 증가 폭이 가장 컸다. 화성시(+59%), 파주·구리시(+41%) 등도 뒤를 이었다.
한편, 규제지역으로 지정된 수도권 서울 전역·경기 12곳에서는 거래 건수가 발표 전 1만242건에서 발표 후 2424건으로 약 76% 감소했다. 영등포구(-95%), 성남시 수정구(-93%) 등 주요 지역에서 급격한 위축이 확인됐다.
반면 이미 규제가 강했던 강남권에서는 감소 폭이 상대적으로 작았으며, 서초구는 오히려 +2% 증가가 나타났다.
이는 ‘풍선효과’로 해석된다. 규제지역의 수요가 비규제지역으로 옮겨가며 거래량이 분산된 것이다. 직방은 “정책 여파가 지역별로 엇갈리면서 시장은 당분간 규제·자금 환경 변화에 적응하는 조정 국면을 이어갈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