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주택공급정책 전반 아우르는 주택공급 핵심과제 검토
![]() |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사진=국토부 제공 |
국토교통부는 24일 주택공급 혁신위원회 제3차 회의를 개최해 주택공급 여건과 전망에 대해 검토하고 '250만호+α 주택공급계획'의 주요 과제들을 점검했다.
앞서 국토부는 주택공급 확대 등의 과제를 논의하기 위해 민간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주택공급 혁신위원회를 구성하고 5월 첫 회의에 이어 지난달에 2차 회의를 개최했다.
전날 열린 제3차 위원회에서는 현재 주택공급 여건을 바탕으로 향후 5년간 주택공급 전망을 진단하는 한편, 최근 주택경기 위축에도 불구하고 이번 정부에서꾸준한 주택공급이 필요한지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위원들은 공통적으로 우리나라의 주택보급률이 선진국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주택 멸실· 1~2인 가구 증가로, 앞으로 주택수요가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을 감안하면 수요증가에 대비한 충분한 주택 재고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5년간 250만호 이상(인·허가 기준)의 신규공급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그간 전문가들은 최근 금리 인상과 주택경기 둔화 추세가 지속될 경우 민간의 주택사업이 위축되면서 향후 5년간 신축 공급이 예년에 비해 10% 이상 줄어들 것이라고 예측했었다.
또 그간 공급정책이 공공 주도로 도시 외곽에 신도시를 조성하는 데 집중한 반면, 정비사업 등 도심 주택공급을 담당하는 민간사업은 규제로 사업이 활발히 추진되지 못하고 있어 국민이 선호하는 도심 주택공급에 차질이 우려된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에 위원들은 주택공급 시차가 긴 점을 고려하면, 경기 하강기에도 민간이 주택 공급을 지속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국민이 원하는 도심주택이 꾸준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주택공급계획에는 절차 간소화, 규제 완화, 세제 혜택 등 민간사업을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포함돼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이밖에도 위원회에서는 민간공급 활성화와 도심·역세권 개발·공급, 주택 사업속도 제고, 정주여건 개선, 청년 주거지원 등 주택공급 핵심과제에 대해서도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졌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오늘 제시된 핵심과제들은 그간 혁신위원회에서 강조한 민간공급 활성화 및 규제 완화를 구체화한 실천과제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며 "오늘 논의된 핵심과제들을 바탕으로 손에 잡히는 '250만호+α 주택공급계획'을 약속드린 8월 둘째 주에 선보일 수 있도록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