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인 영상기록장치 시범사업도 추진
![]() |
▲한국토지주택공사 로고. 사진=LH 제공 |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건설현장 불법행위를 근절하기 위해 불법의심행위 신고를 의무화하도록 제도 개선을 추진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달 중 불법행위 신고의무 내용을 건설사업관리용역 과업보고서, 건설공사 현장설명서에 반영하고 다음달부터는 신고 의무화 항목을 공사 계약조건에 반영한다는 방침이다.
불법행위 신고에 참여한 건설사에게는 신고 횟수에 따라 입찰 시 가점을 부여하기로 했다. 우선 오는 6월부터 화성동탄2 C-14블록과 남양주왕숙 A-16블록 등 민간참여 공공주택 건설사업에 도입하고, 시공책임형 건설사업에도 순차적으로 도입할 예정이다.
아울러, 건설현장 불법행위로 인해 불가피하게 공사가 지연되는 경우에는 건설사 면책 사유와 공기 연장 기준을 신설하고 공사기간 부족으로 인한 무리한 공사를 방지해 안전 사고 및 품질 저하를 예방할 계획이다.
또한, 정부의 불법행위 근절 후속조치에 발맞춰 LH는 투명한 노무관리 및 안전한 현장관리를 위해 건설현장의 전체 시공 과정을 영상으로 기록하는 영상기록장치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이와 함께 조종사의 법정근로시간 준수를 위한 조종사 대가 추가 반영, 건설사의 현장관리 책임을 강화하는 조종사의 건설사 직접고용 등 종합적인 방안도 추진할 예정이다.
이한준 LH 사장은 "건설현장 불법행위 근절은 일시적인 정책이 아니라, 현장을 유지·관리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할 사항"이라며, "신속히 제도개선을 추진해 불법행위가 뿌리내릴 수 없는 건전한 건설환경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전했다.
한국건설경제뉴스 / 이보미 기자 news@k-buildnews.com
[ⓒ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