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한국건설경제뉴스=최대식 기자]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아파트 분양시장 회복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한강 벨트’를 비롯한 주요 지역의 집값이 다시 오름세를 보이는 가운데, 10월 전국 아파트 분양전망지수가 큰 폭으로 반등했다.
주택산업연구원(이하 주산연)은 2일 지난 9월 16∼25일 전국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10월 전국 아파트 분양전망지수는 91.5로 전월 대비 15.9포인트 상승했다고 밝혔다.
분양전망지수는 100을 기준으로, 100 이상이면 분양시장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는 사업자가 더 많다는 뜻이다.
이번 조사에서 수도권 분양전망지수는 100.2를 기록해 심리지수가 기준선(100)을 돌파했다. 이는 전월 대비 20.8포인트 급등한 수치로, 전국 평균보다 상승폭이 컸다.
지역별로는 서울(111.1)이 전월보다 13.9포인트, 경기(97.1)는 17.7포인트, 인천(92.3)은 30.8포인트 각각 상승했다.
주산연은 “서울 주요 지역의 집값 상승세가 심리 회복을 견인한 결과”라며 “내년 신규 입주 물량 감소 전망과 9·7 부동산 공급대책에 대한 실망감이 분양시장으로 수요를 재집중시켰다”고 분석했다.
비수도권 분양전망지수는 89.6으로 전월 대비 14.8포인트 상승했다. 대부분 지역이 상승세를 보이며 수도권의 회복세가 지방으로 번지는 분위기다. 세종(100.0)은 25포인트, 강원(90.0)은 30포인트, 충북(88.9)은 22.2포인트 각각 상승했다.
주산연은 “지방 주택시장에서도 서울과 수도권의 가격 상승이 확산할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전국 분양가격 전망지수는 106.2로 전월보다 1.7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정부의 산업재해 처벌 강화 기조에 따른 공사기간 연장 및 안전관리비 증가 등 추가비용 부담이 건설 원가에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분양물량 전망지수는 89.4로 전월보다 0.3포인트 소폭 상승했다. 가을 분양 성수기임에도 상승 폭이 제한된 것은 주요 건설사들이 정부의 안전 규제 강화로 공사 일시 중단 및 신규 수주 검토를 미루는 분위기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미분양물량 전망지수는 89.6으로 4.3포인트 하락했다.
주산연은 “서울 집값 상승세로 상대적으로 저렴한 미분양 주택으로 수요가 이동했고,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지방 준공 후 미분양 매입 물량을 3천가구에서 8천가구로 확대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