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분포·편의시설 접근성 등 한눈에
![]() |
▲2021년 전국 인구과소지역 분포 및 지역별 현황. 자료=국토부 제공 |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은 지난해 국토조사를 통해 전 국토를 행정구역과 격자망으로 분석‧진단한 '2021년 국토조사'보고서와 '국토조사 국토지표 데이터베이스(DB)'를 공개한다고 10일 밝혔다.
2021년 국토조사보고서는 인구, 사회, 토지, 경제, 생활, 복지 등 분야별 통계자료를 총 200여 종의 국토지표로 나타낸 것으로, 국민 생활과 밀접한 국토지표를 통해 국토변화를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구성됐다.
특히, 국토조사는 100m 크기 격자단위 인구 분포 및 건물 데이터, 250m, 500m 격자 크기의 생활인프라 접근성에 관한 공간통계를 생산함에 따라 행정구역 변화에 구애받지 않고 지역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 보고서를 살펴보면 인구과소지역을 500m 격자단위로 분석한 결과 5인 이하가 거주하는 인구 과소지역이 전 국토의 14.3%로 2020년(14.1%)에 비해 0.2%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시·도별 인구과소지역 비율을 살펴보면, 서울시가 3.76%로 가장 낮았으며 강원도가 38.61%로 가장 높았다. 시·군·구별로는 경상북도 봉화군이 전체 면적의 49.89%가 5인 이하 인구가 거주하고 있어, 인구과소지역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2021년 국토조사 보고서는 국민 삶의 질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교육, 문화, 체육, 보건, 교통 등 생활 필수시설의 이용 편의성을 분석한 결과도 담고 있다.
또 생활권공원, 도서관, 병원, 종합병원, 지진옥외대피소, 소방서 등 우리 생활의 편의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25종의 시설에 대한 접근성 지표(평균 이동거리 및 서비스권역 내 인구 현황)도 다룬다.
2021년 국토조사 보고서와 국토지표 DB는 국토지리정보원 국토정보플랫폼을 통해 누구나 내려받기하거나 이북(e-book)으로 편리하게 열람할 수 있다.
사공호상 국토부 국토지리정보원 원장은 "국토조사 성과는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정책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며 "정확하고 활용성이 높은 데이터 기반의 국토조사 성과를 통해 각종 국토지표를 생산함으로써 디지털플랫폼 정부 실현에 일조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국건설경제뉴스 / 이보미 기자 news@k-buildnews.com
[ⓒ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