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수주, 실적집계 이래 처음으로 1위 기록
![]() |
▲2023년 해외건설 지역별 수주통계. 그래픽=국토부 제공 |
지난해 국내 해외건설 수주실적이 333억1000만달러를 기록했다.
국토교통부와 해외건설협회는 작년 321개 해외건설 기업이 95개국에서 606건의 사업을 따내 해외건설 수주실적이 이같이 집계됐다고 8일 밝혔다. 이로써 국내 해외건설 수주실적은 2022년(310억달러)에 이어 2년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지역별 세부 수주 실적을 보면 중동이 114억 달러(34.3%)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북미·태평양(103억달러·31.0%), 아시아(68억달러·20.4%) 순이었다.국가별로는 미국이 100억달러(30.0%)로 비중이 가장 컸고, 이어 사우디아라비아(95억달러·28.5%), 대만(15억달러·4.5%) 등이 뒤를 이었다.
공종별로 보면 산업설비(158억불·47.4%), 건축(121억불·36.5%), 토목(19억불·5.7%) 순이었으며, 사업 유형별로는 도급사업이 318억달러(95.6%), 투자개발사업이 14억6000만달러(4.4%)를 기록했다.
특히 작년에는 정상 외교가 활발했던 중동지역의 수주가 전년 대비 24억1000만달러 늘며, 회복세를 보인 것이 눈에 띈다. 국토부 측은 정상외교를 통해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아미랄 석유화학플랜트(50억8000만불)와 자푸라 가스플랜트(23억7000만불) 등 메가 프로젝트 수주에 성공한 점이 회복세를 기여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또, 실적 집계를 시작한 1065년 이후 처음으로 미국이 수주 1위를 차지했는데, 이는 세계적인 공급망 재편 과정에서 반도체와 자동차, 배터리 등 국내 제조업체의 미국 내 생산공장 건설 증가에 따른 것이었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어려운 대내외 여건에도 불구하고 정상 순방외교 등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세계 각국에서 분투해 준 우리 기업인들의 노력이 있었기에 해외건설 수주가 지속적으로 늘어날 수 있었다"며 "올해도 지역별‧프로젝트별 맞춤형 수주전략을 수립해 우리 기업들의 수주목표 달성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2023년 해외건설 수주실적과 관련된 더욱 자세한 내용은 해외건설협회에서 운영하는 해외건설통합정보서비스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