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중위소득 60% 이하 가구 대상 지원
![]() |
▲희망의 집수리사업 지원 전후 모습. 사진=서울시 제공 |
서울시가 저소득층의 열악한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희망의 집수리' 사업 지원금을 확대하고, 하반기 지원가구 모집에 나선다.
시는 12일부터 오는 31일까지 희망의집수리 사업에 참여할 1200가구를 모집한다고 밝혔다.
희망의집수리는 열악한 주거호나겨에 처해 있음에도 비용이 부담돼 집수리를 할 수 없던 가구에 수리비를 지원하는 서울시 복지사업이다. 수리를 원하는 가구는 접수 기간 내 동주민센터를 통해 신청하면 된다.
특히 올해 하반기부터는 상반기 대비 최대 지원금액을 180만원에서 250만원으로 확대했을 뿐 아니라 지원가구도 600가구에서 1200가구로 2배 늘렸다.
신청 자격은 소득인정액 기준중위소득 60% 이하, 자가 또는 임차가구이며, 소득요건을 충족하는 신청가구 가운데 반지하, 자치구 추천 긴급가구 등 우선순위에 따라 지원가구가 최종 결정된다.
자가일 경우에는 해당 주택에 거주 중이어야 신청할 수 있으며, 기준 중위소득 47% 이하인 가구는 수선유지급여 지급대상이므로 지원하지 않는다.
또 주택법 상 '주택'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지원하므로, 고시원 등 준주택이나 무허가 건물 등은 신청할 수 없다. 최근 3년 이내 지원받은 가구도 올해는 신청할 수 없다.
지원하는 집수리 항목은 도배·장판·창호부터 차수판·침수경보기 등 안전시설 설치까지 총 18종이다. 시는 지난해 폭우로 인해 반지하 침수 등 피해가 컸던 점을 고려해 올해부터 반지하 주택을 대상으로 침수경보기.차수판 등 안전시설 설치를 신규로 추가했다.
시는 SH공사 협조를 통해 각 공사 항목에 대한 표준 자재규격.단가를 산정 및 적용해 시공이 균일하게 이뤄지도록 하는 한편 교부된 지원예산도 수리에 알맞게 활용되도록 관리할 방침이다.
최종 지원 가구는 8월 초 심사를 거쳐 선정될 예정이며, 선정 이후에는 순차적으로 수리에 들어갈 예정이다.
한병용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희망의집수리 사업은 2009년부터 현재까지 총 1만8000가구에 맞춤형 집수리를 지원하고 높은 만족도 속에 추진되고 있다"며 "앞으로도 주거취약계층의 안전망 확충을 위해 계속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한국건설경제뉴스 / 이보미 기자 news@k-buildnews.com
[ⓒ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