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고 어려운 아파트 이름 그만"…서울시, 길라잡이 책자 발간

정책/제도 / 이보미 기자 / 2024-02-28 12:46:38
외국어 자제 등 5가지 가이드라인 제시
전문가·시민 의견 공유로 탄생…배포
▲새로 쓰는 공동주택 이름 길라잡이-아름답고 부르기 쉬운 이름, 가까워지는 공동주택 아파트 책자 표지 이미지. 사진=서울시 제공

 

서울시는 아름다운 우리말을 해치고 생활에 불편까지 주는 길고 생소한 외래어 일색에서 아름다운 한글과 고유한 지명을 담은 쉽고 편한 이름이 자리 잡도록 돕는 '아파트 이름 길라잡이' 책자를 발간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에 발간된 '새로 쓰는 공동주택 이름 길라잡이-아름답고 부르기 쉬운 이름, 가까워지는 공동주택 아파트'는 ▲어려운 외국어 사용 자제하기 ▲고유지명 활용하기 ▲애칭(펫네임)사용 자제하기 ▲적정 글자 수 지키기 ▲주민이 원하는 이름을 위한 제정 절차 이행하기 등 5가지 가이드를 제시한다.

 

최근 아파트 단지의 이름이 입지 특색과 특장점을 강조하기 위해 아파트 브랜드 앞뒤에 붙이는 애칭(펫네임) 때문에 이름 길어지고 복잡해지고 있고, 특히 이렇게 길고 어려운 이름 때문에 오히려 단지 차별화를 주지 못하고 있다는 게 책자의 요지다.

 

책자는 이외에도 시대별 아파트 이름 변천사와 아파트 이름 제정에 대한 공론과 과정, 아파트 이름 변경 판례 등 흥미로운 내용들도 부록으로 담았다. 

 

이번 책자 발간은 공공성과 자율성이 담긴 아파트 이름 제정을 위한 권고 수준의 길라잡이가 필요하다는 전문가와 업계의 공통적인 의견에 따라 2022년 말부터 지난해 말까지 총 3차례에 걸친 학계 전문가‧조합‧건설사 등의 토론을 통해 마련됐다.

 

특히 3차 토론회에서는 서울시와 공공·민간 건설사 11개사가 '아파트 이름 개선 동참 선언'을 하기도 했다. 여기에 참여한 건설사는 DL이앤씨, 대우건설, 두산건설, 롯데건설, 삼성물산, GS건설, 포스코이앤씨, 현대건설, 현대엔지니어링 등이다.

 

시는 이번에 발간한 책자를 아파트 이름을 제정하거나 변경할 때 반영‧참고 할 수 있도록 각 구청과 조합, 건설사에 공개·배포할 계획이다. 또 서울시 정비사업 정보몽땅 자료실에서도 누구나 내려받을 수 있다.

 

한병용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생소한 외국어, 지나치게 긴 아파트 이름이 시민들의 생활에 불편을 주지 않을지라는 문제의식에서 토론회와 관계자 논의가 시작됐다"며 "고민과 논의를 거쳐 만들어진 길라잡이를 통해 앞으로 아름답고 부르기 쉬운 아름다운 한글의 아파트 이름이 활발하게 만들어지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보미 기자 이보미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많이 본 기사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