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내 조성계획 기준 마련·시범 사업 대상지 선정
![]() |
▲보행일상권 개념도. 사진=서울시 제공 |
서울이 시내에서 도보 30분 거리 안에서 일상 생활을 모두 누릴 수 있는 도시로 변모를 꾀한다.
서울시는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 7대 목표 가운데 하나인 '보행일상권 조성'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용역에 착수했다고 17일 밝혔다.
보행일상권은 지난 1월 최종 확정된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에서 처음 제시된 개념으로, 개인의 생활 반경을 중심으로 일자리·여가 문화·상업 등 필요한 모든 기능을 도보 30분 내 누릴 수 있는 자족적인 서울형 근린생활권을 의미한다.
시는 이 같은 보행일상권을 서울 전역에 조성해 시민들이 가까운 거래에서 다양한 도시기능과 공공서비스를 누릴 수 있게 해 삶의 질을 높이겠다는 구상을 세웠다.
최근 해외에서도 생활권 단위 삶의 질 향상을 위한 'N분 도시' 개념을 도입해 다양한 정책과 사업을 추진하는 실정이라고 시는 전했다. 대표적인 예로 프랑스 파리의 '15분 도시'(2020년)와 호주 멜버른(2019년)과 미국 포틀랜드(2013년) '20분 도시'가 있다.
프랑스 파리의 '15분 도시'는 자전거나 도보로 일상생활에 필요한 서비스까지 15분 내 공원, 문화시설, 체육시설, 의료시설 등 공공서비스를 접할 수 있는 도시를 지향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여기에는 거주지역에 상관없이 근거리 내 녹색공간을 이용할 수 있는 생활권 마련 계획도 포함된다.
이런 세계적인 변화와 흐름에 서울시 또한 '서울형 N분 도시', '보행일상권'을 실현하겠다는 것이다. 시는 이번 용역을 통해 보행일상권의 거리·규모 등 공간적 범위와 주거·여가문화·상업 등 필요 도시기능에 대한 내용적 범위를 구체화하고, 보행일상권 실현을 위한 조성기준을 마련할 방침이다.
시는 앞서 보행일상권에 대해 ▲나를 중심으로 시설이나 서비스와의 근접성 향상 ▲다양한 일상 활동을 지원하는 복합시설 제공 ▲도보·자전거·마을버스 등 교통수단을 활용한 생활권 내 연결성 강화 등의 3가지 목표를 세운 바 있다.
앞으로는 지역별 특성을 고려해 맞춤형 보행일상권을 지세하고, 기존 제도와 사업, 도시계획체계와의 연계 방안 검토 등을 통해 유형별 추진 전략과 실현 수단을 마련할 계획이다.
보행일상권 시범사업 대상지도 시급성과 실효성, 중요도 등 다양한 지표를 기반으로 연내 선정할 방침이다. 이어 내년에는 시범사업을 통해 조성 기준의 실효성을 확인, 보완하는 과정을 거쳐 서울시 전역에 보행일상권을 확대·조성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필요한 시설과 공공서비스를 편하게누릴 수 있도록 보행일상권의 구체적 추진전략 및 실현방안을 마련토록할 것"이라며 "이번 용역을 토대로 팬데믹과 유사한 또 다른 위기 상황에서도 기존의 삶의 질을 유지하는 안전한 근린생활권 도시 서울을 실현해 갈 것"이라고 전했다.
한국건설경제뉴스 / 이보미 기자 news@k-buildnews.com
[ⓒ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