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정부 첫 국가산단 후보지 지정…용인·대전·광주 등
2026년 말 단계적 착공 가능하도록 속도감 있게 추진
![]() |
▲국가산업단지 후보지 위치도. 그래픽=국토부 제공 |
정부가 전국 15개 거점에 첨단산업단지를 구축한다. 특히 경기도 용인에는 기존 반도체 생산단지인 기흥, 화성, 평택과 연결한 세계 최대 반도체 클러스트를 만들고, 다른 지방도 국가첨단산업단지를 새로 조성해 국내 첨단산업을 적극적으로 뒷받침한다는 방침이다. 이는 육석열 정부의 첫 국가산업단지 후보지 지정이다.
국토교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15일 '제14차 비상경제민생회의'를 통해 범정부 차원에서 전방위적으로 지원할 '첨단산업 육성전략'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에는 첨단산업 강대국 도약을 위한 6대 핵심 과제와 국가산업단지 후보지 15곳, 첨단산업기지 조성 전략 등이 담겼다.
정부는 총 1200만평(4076만㎡) 규모 부지에 산단을 조성해 전국에 첨단산업 생산거점을 고르게 확보하고 기업 투자를 전폭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국가산단으로 지정되면 인허가 신속 처리와, 기반시설 구축, 세액 공제 등 전방위적 혜택이 주어진다.
이번에 선정된 후보지는 ▲경기 용인(시스템 반도체) ▲대전 유성(나노·반도체) ▲충청 천안(미래 모빌리티) ▲충북 청주(오송 철도클러스터) ▲충청 홍성(미래신산업) ▲광주 광산( 미래자동차) ▲전남 고흥(우주발사체) ▲전북 익산(식품 클러스터 2단계) ▲전북 완주(수소 특화) ▲경남 창원(방위·원자력 융합) ▲대구 달성(미래 스마트기술) ▲경북 안동(바이오생명) ▲경북 경주(SMR·혁신원자력) ▲경북 울진(원자력 수소) ▲강원 강릉(천연물 바이오) 등 15곳이다.
정부는 그린벨트 규제를 적극 완화해 산단 지정이 신속히 추진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관계기관 사전협의와 신속 예타 등을 통해 통해 기존 7년에서 5년으로 줄여 적기 개발을 추진하고 기업이 산업단지 개발계획 수립 때부터 참여할 수 있도록 국가첨단산업벨트 범정부추진지원단도 구성한다.
15개 산단 후보지는 사업시행자를 선정한 뒤 개발계획 수립, 예비타당성 조사, 관계기관 협의를 거쳐 국가산업단지로 정식 지정할 계획이며, 입주 수요, 적정 면적, 지자체 지원계획, 인프라 공급방안 등 심도있게 검토한 후 2026년 말부터 단계적으로 착공이 가능하도록 속도감 있게 추진할 방침이다.
또 첨단산업이 지역에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후보지 및 인근 거점을 대상으로 ▲도심융합특구(국토부) ▲국가첨단전략산업 ▲소부장특화단지(산업부) ▲스마트 혁신지구(중기부) 등 지정을 비수도권 중심으로 본격 추진한다. 인근의 산업 거점과 연계해 기술개발에서 실증, 제조·생산, 유통까지 연결되는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다.
정부는 모든 신규 국가산단은 조성 단계부터 에너지자립, 친환경개발, 스마트 기반시설을 도입한 '스마트그린 산업단지'로 만들 예정이다. 이를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고 디지털·그린경제라는 글로벌 흐름에 맞춘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지역에서 전문인력을 양성할 수 있도록 반도체 계약학과를 확대하고 특성화 대학(원) 창업중심대학 지정도 추진한다.
한국건설경제뉴스 / 이보미 기자 news@k-buildnews.com
[ⓒ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