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디지털트윈 구축에 5년간 3조7700억원 투입

정책/제도 / 이보미 기자 / 2023-06-22 14:10:10
국토부 '제7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 발표
부처 간 협업 강화…인재 양성·기술 개발에 투자↑
▲국가공간정보 디지털트윈 체계 개념도와 구현단계. 사진=국토부 제공

 

정부가 2027년까지 3조7700억원을 투입해 국가 차원의 디지털트윈을 구축하고 위치기반 융복합 산업을 활성화한다. 공간정보 분야 국가 경쟁력 상위 10위권에 진입하겠다는 목표다.

 

국토교통부는 22일 이런 내용을 담은 '제7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을 확정·발표했다.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은 국가공간정보기본법에 따라 수립되는 공간정보 분야의 최상위 법정계획으로, 지난해 7월부터 올해 4월까지 실시한 국토연구원의 연구용역을 통해 전문가와 종사자 등 다양한 의견수렴을 거쳤으며, 지난해 12월 공청회 개최, 관계부처 협의, 이달 국가공간정보위원회 심의를 거쳐 확정한 것이다.

 

이번 7차 기본계획에서는 '모든 데이터가 연결된 디지털 대한민국 실현'을 비전으로 4대 추진 전략과 12개 추진 과제를 도출했다. 4대 추진 전략은 ▲국가 차원의 디지털트윈 구축 및 활용 체계 마련 ▲공간정보자원 유통· 활용 활성화 ▲공간정보융복합산업 활성화를 위한 인재양성과 기술개발 ▲국가공간정보 디지털트윈 생태계를 위한 정책기반조성이다.

 

국토부는 이를 위해 앞으로 국가 차원의 디지털트윈 체계 구축을 통한 데이터의 연계.활용 기반 마련을 위해 여러 부처‧기관간 협업을 강화하고, 관련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등 투자를 확대하며, 디지털트윈에 대한 표준 및 가이드라인도 마련해 효율적인 디지털트윈 구축과 활용을 지원할 계획이다. 

 

목표는 위치기반 융복합 사업을 활성화해 관련 분야 총매출을 2020년 기준 10조원에서 2027년 15조원까지 확대하는 것으로 잡았다. 디지털트윈 구현 단계도 현재 2단계에서 4단계로 올리고 갱신 주기도 현재 6개월에서 2년 걸리는 것을 시시간으로 갱신해 지난해 기준으로 25위인 공간정보 분야 국가경쟁력 순위를 10위권으로 끌어올리겠다는 방침이다. 

 

박건수 국토부 국토정보정책관은"이번 제7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 수립을 계기로, 위치기반 융복합 산업이 활성화되고 공간정보 분야의 국제경쟁력도 강화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국건설경제뉴스 / 이보미 기자 news@k-buildnews.com

 

 

[ⓒ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보미 기자 이보미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많이 본 기사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