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서울 아파트 신고가 거래, 3년 만에 최고치…양극화 뚜렷

시장동향 / 박동혁 기자 / 2025-09-08 13:31:52
전체 거래는 36%로 급감했지만, 고가 주택 중심으로 여전한 신고가 상승세 이어져
▲서울 아파트 거래 신고가 비중 / 자료=직방

 

[한국건설경제뉴스=박동혁 기자] 지난 7월 서울 아파트 매매 중 신고가 거래 비중이 23.6%로 나타나, 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불장' 수준이었던 6월(22.9%)보다도 높은 수치다. 정부의 대출 규제로 거래량은 감소했지만, 고가 단지를 중심으로 가격 상승은 지속되며 시장의 온도 차가 확인됐다.


8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 분석 결과, 7월 거래건수는 3946건으로 전달 대비 36% 수준으로 줄었지만, 신고가 비중은 상승했다. 고가 주택에 대해서는 여전한 수요가 이어지는 반면, 중저가 주택에서는 규제 영향으로 거래 위축과 조정 흐름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

금액대별로는 12억 원 초과~20억 원 이하 거래 중 신고가 비율이 31%로 가장 높았다. 이 층위는 맞벌이 고소득층이나 갈아타기 수요 등이 주도했으며, 성북·동작·성동·마포구를 중심으로 신고가 갱신 사례가 많았다.

30억 원 초과 구간의 신고가 비중도 20%로 나타났다. 핵심 입지의 희소성과 공급 한계가 매수세와 맞물리며 고가 거래의 상승세를 유지하게 했다.

자치구별로는 서초구(61.5%), 용산구(59.5%), 강남구(51.6%) 등에서 신고가 거래 비중이 절반을 넘었다. 실제로 서초구는 총 192건 중 118건이 신고가였으며, 그중 30억 원 초과 거래는 44%를 차지했다.

반면 중랑구(4.3%), 구로구 및 성북구(각 3.6%), 노원구(3.2%), 도봉구(3.1%) 등 외곽지역은 상대적으로 낮은 신고가 비중을 보여, 자금 여력에 따른 지리적 격차가 두드러졌다.

신고가 비중이 급증한 배경에는 6·27 대출 규제 이전 계약이 7월에 반영된 영향도 있다. 특히 토지거래허가구역내 계약은 신고까지 시차가 발생해 결과적으로 신고가 비중이 높아졌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 실장은 “고가 주택은 신고가 경신 흐름이 유지되는 반면, 중저가 주택은 자금 여력 한계로 거래가 위축되며 가격 조정이 이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많이 본 기사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