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보지 10개소 선별 완료…관련 조례 제정 준비중
2026년까지 상생주택 포함 장기전세 7만호 공급
![]() |
▲사진=셔터스톡 |
서울시가 민간 토지를 활용해 공공임대를 주는 새 주택공급 방식인 '상생주택'을 이르면 2025년 선보인다.
시는 기존 장기전세주택을 발전시킨 모델인 '상생주택' 사업 후보지 선별을 끝내고 관련 조례 제정 등 본격 공급을 위한 준비에 들어갔다고 8일 밝혔다. 오는 2026년까지 상생주택을 포함한 장기전세주택의 7만호 공급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상생주택은 기존 공공 택지개발 방식으로 추진해온 장기전세주택 공급을 민간으로 넓혀 민간 토지에 주택을 건설하고 장기전세 형태로 공급하는 사업이다. 서울 시내 주택을 건설할 새로운 부지가 부족한 한계를 극복하고 공공주택 공급을 활성화하기 위해 기획된 것이다.
토지주는 각종 규제에 막혀 활용도가 낮았던 부지를 임대로 제공하고, 공공은 시민에게 양질의 주택을 저렴한 임차료로 공급할 수 있으며, 임차인은 가격 부담 없이 오랜 기간 안정적으로 살 수 있어 '3자' 모두에게 유익한 집이라는 의미에서 '상생(相生)주택'이라는 명칭이 붙었다.
![]() |
▲서울시가 제작한 상생주택 홍보 카드뉴스 |
시는 지난 5월 '상생주택' 사업 대상지를 공모했고, 이 공모에는 총 22개소가 지원했다. 지난 6월 최종 후보지로 선정된 10개소는 현재 대상지별로 사업 검토, 상호 협의 등의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후보지 10개소 가운데 민간과 협의가 원활하게 추진되는 대상지 3~4개소는 서울주택도시공사가 시범사업으로 직접 장기전세주택을 건설할 예정이다. 현재 건축계획 등 사업 추진을 위한 용역에 착수했다. 토지사용 협약 이후에는 신속하게 사업 인허가와 공사에 들어가 2025년 첫 상생주택을 공급하겠다는 것이 시의 목표다.
시는 사업 확대를 위해 민간 토지 수시 접수도 진행할 예정이다. 장기전세주택은 주변 시세 절반 수준의 전세금으로 양질의 주택에서 20년 이상 장기 거주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무주택 중산층 가구의 수요가 크기 때문이다. 실제 올해 5월 서울주택도시공사(LH)가 진행한 제41차 장기전세주택 입주자 모집에는 1426가구 모집에 1만2933명이 몰려 평균 경쟁률 9.1대 1을 기록하기도 했다.
유창수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그동안 서울시민의 주거와 전세시장 안정에 크게 기여해 온 장기전세주택이 민간과 협력하는 새로운 공급모델로 재탄생하게 됐다"며 "장기전세뿐만 아니라 앞으로 새로운 주택공급 모델을 지속 발굴 또는 업그레이드해 다양한 방식으로 주택을 공급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한국건설경제뉴스 / 이보미 기자 news@k-buildnews.com
[ⓒ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