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창신·숭인 4개 구역 조감도 / 종로구 제공 |
[한국건설경제뉴스=박동혁 기자] 서울 종로구가 주거환경 개선과 주민 재산권 보호를 위해 대규모 재개발 사업에 나섰다. 구는 17일 총 31개 정비구역에서 1만9천360세대 규모의 재개발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대표 사업지인 창신동 23번지는 경사도 20%에 달하는 저층 노후 주거지로, 지난해 12월 주택정비형 재개발 구역으로 지정됐다. 올해 12월 조합설립인가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26년 상반기 통합심의도 앞두고 있다. 해당 지역에는 지상 최고 28층, 총 1038세대 규모의 신규 주택이 들어설 예정이다.
숭인동 56번지도 2024년 말 재개발 구역으로 지정됐으며, 올해 안에 사업 시행 방식을 확정할 계획이다.
또한 신속통합기획이 확정된 창신동 23-606번지와 629번지 일대에는 지상 최고 29층, 4542세대 규모의 단지가 들어선다. 한양도성 경관과 어우러지는 스카이라인을 구현하고, 지형에 순응한 테라스형 설계를 적용한다. 이 지역은 내년 상반기 사업 시행 방식을 결정할 예정이다.
정문헌 종로구청장은 “주민 참여를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도시 재생과 주거환경 개선을 이끌고, 재산권 행사도 보장하겠다”고 말했다.
종로구는 동시에 탑골공원 개선에도 나섰다. 구는 3·1운동 발상지인 탑골공원의 역사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전 세대가 함께 누릴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 조성하겠다는 방침이다.
핵심은 국보 제2호인 ‘원각사지 십층석탑’을 덮고 있는 유리 보호각 개선이다. 해당 보호각은 1999년 설치돼 산성비와 조류 배설물로부터 석탑을 보호해왔으나, 내부 결로와 통풍 문제로 원형 훼손이 심각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빛 반사로 인해 관람객 시야가 방해받는 문제도 꾸준히 제기돼 왔다.
종로구는 국가유산청과 협력해 기본설계를 발주하고, 철거·이전·개선 방안을 포함한 다각적인 대안을 검토 중이다. 2026년 3월 기본설계 확정 후 국가 예산을 확보해 본격적인 개선 작업에 착수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공원 서문을 이전·복원하고, 담장을 정비하며 역사기념관도 새로 짓는다. 지난 7월부터는 오락행위·흡연·상거래 단속을 강화해 무질서를 줄이고 쾌적한 공원 환경을 조성했다. 다만 장기를 즐기던 노인들이 갈 곳을 잃었다는 지적이 나오자, 정 구청장은 “대체 공간을 마련할 수 있도록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밝혔다.
[ⓒ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