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압구정2구역 재건축 투시도. [사진=독자] |
[한국건설경제뉴스=박동혁 기자] 압구정2구역 재건축 사업이 현재 설계안대로 진행될 경우, 전체 2571세대 중 약 900세대(전체의 35%)가 한강조망이 불가능한 세대가 되는 것으로 나타나 조합원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2일 본지 취재 결과, 조합은 현재 14개 동 개수를 고정한 채 평면 특화와 커뮤니티 특화에만 집중하라는 입장인 것으로 드러났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 같은 조합의 입장에 대해 "한강변에 따라 좌우로 와이드한 압구정2구역의 특성상, 더 많은 세대에 한강조망 확보가 가능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현재 동 배치를 고집한다면, 단지 전체가 지닌 엄청난 한강조망 가치를 조합 스스로 포기하는 모습이 된다는 것이다.
실제로 현대건설은 이미 신반포2차(디에이치 르블랑)에서 전 세대 한강조망 설계를 성공적으로 제안한 바 있다. 압구정2구역 역시 한강변을 따라 좌우로 넓게 펼쳐진 지형적 특성 때문에 한강조망 세대수 확대가 얼마든지 가능한 조건이다.
특히 전문가들은 압구정2구역의 중앙공원 규모를 최적화하고, 동 개수와 위치를 합리적으로 조정한다면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은 한강조망 세대 확보가 가능하다고 평가하고 있다.
한강조망의 가치는 부동산 시장에서 그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핵심 프리미엄 요소다. 현재 압구정2구역의 설계안은 약 900세대가 한강조망을 포기하게 되는 셈이며, 이는 단지 전체의 잠재적 가치 상승 기회를 상실하는 것과 다름없다. 한강조망 여부에 따른 세대당 시세 차이를 최소 10억 원으로 가정할 경우, 900세대에서 발생하는 총 9000억 원의 가치 상승 기회를 조합 스스로 포기하는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 |
▲압구정2구역. [사진=독자] |
특히 더 큰 문제는 이로 인해 30평형대 조합원들이 가장 큰 피해자가 될 것이라는 점이다. 현재 설계안대로라면 30평형대에서 비조망 세대 배정 확률이 가장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비슷한 분담금을 내고도 어떤 조합원은 한강조망을 통해 수십억 원의 프리미엄을 누리는 반면, 어떤 조합원은 조망 없는 세대를 받아야 하는 불공정한 상황으로 이어져 형평성 논란이 불가피하다.
정비업계에선 한강조망이 좌절된 조합원들이 조직적으로 반발할 것이 예상되기 때문에 관리처분 총회가 원활하게 통과될 수 없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이로 인해 자연스럽게 설계 변경과 공사비 상승으로 이어져 사업 지연의 절차를 밟을 가능성이 크다.
정비업계 관계자는 "현재 압구정2구역은 인허가 단계에서 경미한 범위 내 대안 설계를 진행하는 것이 사업 지연 없이 가능하다"며 "한강조망을 포기하는 현재의 대안 설계는 결국 또다시 설계 변경을 초래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는 조합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조합원들의 가치를 극대화하고 사업의 원활한 진행을 위한 현명한 판단을 내려야 할 시점임을 시사한다.
[ⓒ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