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S신호 단절에도 5m 정확도로 위치 결정
![]() |
▲의사위성. 사진=국토부 제공 |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은 GPS(위성위치확인시스템) 신호가 단절된 실내에서도 5m 정확도로 위치를 결정하는 측위기술을 개발하는 연구를 개발해 15일 오후 서울 스마트시티센터에서 현장 시연을 했다고 밝혔다.
이번 현장 시연에서 위성신호가 잡히지 않는 실내에서 GPS와 동일한 주파수의 의사위성(Pseudolite, 송신기) 신호를 사용해 별도의 장치나 애플리케이션 없이도 스마트폰을 통해 실내 위치와 이동 경로를 파악하는 기술을 선보인 것이다.
의사위성는 GPS 위성신호의 수신이 좋지 않은 지역이나 실내 특정지역에서의 정밀한 항법체계를 위해 인공위성 대신 지상의 고정된 장소에 설치하는 송신기를 뜻한다.
의사위성을 이용한 위치결정 기술(측위기술)은 GPS와 유사한 신호를 사각지대에 설치한 송신기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이용자가 GPS 위성과 의사위성으로부터 동시에 신호를 수신해 더욱 정확하게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는 게 국토지리정보원 측의 설명이다.
국토지리정보원은 2021년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기 어려운 실내와 고층건물 밀집지역 등 단절지역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해왔다.
1차 연구에서는 GPS 신호가 일부 끊기는 교량 하부와 건물 밀도가 높은 도심지(역삼역 GS타워 열림마당)에서 의사위성을 이용하면 끊김 현상 없이 위치추적이 되는 것을 확인했다.
신호단절 지역에서는 수신 가능한 위성 수가 적어 위치 오차가 60∼200m까지 발생했으나, 의사위성을 설치했더니 3∼8m 수준으로 줄었다.
2차 연구에서는 GPS 신호가 완전히 단절된 실내에서 실증에 나섰다. 그 결과 스마트폰에서 오차범위 5m 내에서 위치 측정이 되는 정확도를 확보했다.
의사위성을 이용한 위치결정 기술은 미국 등을 중심으로 2000년대 초반부터 연구가 진행됐으나, 스마트폰 등 개인 위치결정장비를 지원하는 목적으로 개발된 상용화 기술은 아직까지 없는 실정이다.
해외에서는 Trimble(미국), Locata system(호주) 등 기업에서 상용화된 의사위성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나, 비용이 고가이며 별도의 전용 수신기가 필요함에 따라 광산업 등 특수분야에서 제한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국토지리정보원은 앞으로 상용화 단계로 진입을 위해서는 광역적인 시범운영을 거쳐 안정적인 성능이 보장돼야 하며, 현장에 설치된 단말기를 모니터링하는 관제센터도 설치·운영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국토부는 2026년까지 의사위성의 핵심기술 국산화 등을 포함한 '디지털 국토정보 기술개발' 연구개발(R&D) 사업을 추진해 단절지역을 포함한 모든 지역에서의 끊김없고 정밀한 연속측위 기술을 개발하고, 개발된 기술을 상용화한다는 계획이다.
송시화 국토지리정보원 위치기준과장은 "이번 연구가 실내 경로안내 및 피난안내, 응급상황신고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위치정보 활용 가능성을 확대해 국민의 안전과 편의를 증대시키는 효과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국건설경제뉴스 / 이보미 기자 news@k-buildnews.com
[ⓒ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