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가이드라인 마련…다른지구로도 확대
![]() |
▲‘공적 역할 강화를 위한 공공재개발 주거 및 생활안정방안 연구용역’ 개요. 그래픽=LH 제공 |
한국주택토지공사(LH)는 공공재개발 사업의 원주민 맞춤 재정착 지원을 위해 오는 27일 '공적역할 강화를 위한 공공재개발 주거 및 생활안정방안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연다고 26일 밝혔다.
이 연구는 공공재개발 사업추진 과정에서 원주민들의 재정착률을 높이고 주민들의 주거와 생활안정 기반을 강화할 수 있는 종합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기 위해 추진됐다.
용역 대상은 △전농9 △장위9 △성북1 △거여새마을 △봉천13 등이다. 서울 시 내 공공재개발 사업지구 12개 중 사업진행 단계 등을 고려해 선정했다는 게 LH 측의 설명이다.
연구는 △지구현황 분석 △원주민 설문조사 △주거 및 생활안정방안 및 지구특성화 방안을 주로 하며, 연구 과정에서 도출되는 관련 제도 등 정책 건의도 함께 이뤄질 예정이다.
용역은 제안서 평가위원회 등 절차를 거쳐 한국주거학회 컨소시엄이 맡기로 했다.
오주헌 LH 수도권도시정비특별본부장은 "이번 용역을 통해 원주민들의 상황이나 여건을 정밀하게 살펴 주민이 원하는 맞춤형 대책을 마련할 겄"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공통적인 종합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다른 지구에 확대 적용하는 방안도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한국건설경제뉴스 / 이보미 기자 news@k-buildnews.com
[ⓒ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