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신통기획 재개발 후보지 7곳 토허구역 지정 / 서울시 제공 |
[한국건설경제뉴스=박동혁 기자] 서울시가 노후·저활용 주거지를 대상으로 한 재개발사업에 속도를 더한다.
지난 3일 열린 ‘제5차 주택재개발 후보지 선정위원회’에서 시흥4동 1 일대 등 7곳이 ‘신속통합기획’ 후보지로 추가 지정됐으며, 정비계획 수립 보조금이 즉시 지원되고 투기행위 차단을 위한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도 병행된다.
서울시는 4일 시내 재개발 수요가 높은 7개 구역(금천구 시흥4동 1일대, 종로구 행촌동 210‑2 일대, 마포구 합정동 444‑12 일대, 용산구 이태원동 214‑37 일대, 용산구 용산동 2가 1‑597 일대, 은평구 녹번동 35‑78 일대, 구로구 구로동 739‑7 일대)을 ‘신속통합기획’ 재개발 후보지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추가로 해당 유형 추진구역은 총 136곳으로 확대됐다. 선정된 지역들은 반지하주택 비율이 높고 노후도가 심각해 주거환경 개선이 시급하다는 점과 주민참여 의지 및 인접 개발사업과의 연계 가능성 등이 종합 고려된 것으로 시는 밝혔다.
선정된 후보지에는 정비계획 수립을 위한 보조금이 즉시 지원되며, 구역지정 완료까지의 기간을 기존 평균 2·2.5년에서 더 단축해 2년 이내로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추가로, 투기 세력 유입을 막기 위한 방안도 병행한다. 선정과 동시에 해당 구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해 지분쪼개기 등 투기성 거래를 제한하며, 지정기간은 2025년 11월 11일~2027년 1월 28일로 설정됐다.
이번 조치는 서울시가 재개발·재건축 속도화를 위해 제도적 틀을 강화한 대표 사례다. 주거취약지 개선, 신속한 인허가 체계 구축, 투기방지 제도 병행이라는 3축 전략이 맞물리고 있다.
다만 현장에서는 사업성 확보, 주민이익 균형, 금융조달 안정 등이 과제로 제기된다. 특히 대기 중인 정비사업의 차질 여부와 신속통합기획 참여 확대, 실제 착수까지의 속도가 승패를 가를 것으로 분석된다.
서울시가 이번 7곳을 추가로 선정함으로써 신속통합기획 재개발 사업은 본격 궤도에 올랐다. 공급 확대와 주거환경 개선 차원에서 의미 있는 진전이다. 향후 2년 내 구역지정과 착수 여부, 투기억제 효과 등이 사업의 성공을 가늠하는 주요 잣대가 될 것이다.
[ⓒ 한국건설경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